카테고리 없음

야구에서 타자와 관련된 용어 정리

어노 2023. 7. 23. 00:45
반응형

야구에서 타자와 관련된 주요 용어들이 있습니다. 용어의 뜻을 알고 해설에 집중하면서 경기를 보면 조금 더 쉽게 이해될뿐더러 보다 재미있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타자

공격 팀의 선수로 투수가 던진 공을 배트로 치는 역할입니다.

타순

각 선수의 출장 순서로 공격 팀은 감독이 정해준 로테이션을 따라 순서대로 타석에 나서게 됩니다.

타석

타자는 수비팀의 투수가 던지는 공을 쳐야하는 위치로 홈플레이트 옆에 위치합니다.

타율(AVG)

타자의 기록 중 가장 중요한 지표로 안타를 친 횟수를 총 타수로 나눈 값(안타 개수 ÷ 타수)입니다. 일반적으로 타율이 높을수록 뛰어난 타자로 평가되며, 3할이상의 타율을 유지하고 있는 타자가 기록적으로 잘하고 있는 선수를 뜻합니다.

안타

수비팀의 투수가 던지는 공을 타자가 배팅을 해서 주자가 안전하게 진루할 수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안타는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으로 나뉩니다. 쉽게 말해 1루 베이스를 훔치면 1루타, 2루 베이스는 2루타, 3루 베이스는 3루타이며, 공이 담장을 넘거나 달리기로 홈플레이트를 훔치는 경우를 홈런이라고 뜻합니다.

홈런

타자가 투수의 공을 쳐서 담장을 넘어가게 되면 기록되는 최고의 안타 중 하나입니다. 기록상으로는 H로 기록됩니다.

볼넷

수비팀의 투수가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난 4개의 공을 던졌을 때 볼넷이라고 지칭하며, 볼넷이 될 경우 타자는 다음 카운트와 관계없이 1루로 출루하는 것을 뜻합니다. 볼넷은 출루율을 올라가지만, 타석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삼진

타자가 3개의 스트라이크를 받으면 아웃되는 것으로 공격 팀에서 공을 건들지 못하고 진루에 실패하는 것을 뜻합니다.

출루율(OBP)

<안타개수 + 베이스온볼스(볼넷) + 사구> ÷ <타수 + 볼넷 + 사구 + 희생플라이> 를 한 값으로 출루율(OBP)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장타율(SLG)

{단타개수 + (2 x 2루타 개수) + (3 x 3루타 개수) + (4 x 홈런개수)} ÷ 타수를 한 값으로 장타율(SLG)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OPS

출루율(OBP) ÷ 장타율(SLG)를 한 값으로 공식은 위의 출루율의 공식에서 장타율의 공식을 나누면 나오는 것이 OPS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BABIP

(안타 개수 - 홈런 개수) ÷ (타수 - 삼진 개수 - 홈런 개수 + 희생플라이 개수)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WAR

야수의 가치를 구하는 공식으로 WAR을 파악하는데 5가지의 과정을 거칩니다. 타격에서의 기여도{Batting RAR(Run Above Replacement level) = wRAA + ((20/600) x 타석)}, 수비에서의 기여도(공식은 앞으로 공개될 예정), 포지션에 따른 조정{지명타자 포지션 조정값 = 1루수의 포지션 조정값(-12.5) + 지명타자의 1루수로서의 수비력(-10) + 지명타자로 뛰면서 타격성적의 손해값(+5) = -17.5}, {한 시즌에 여러 포지션에서 수비했을 경우 = (포지션1의 조정값) x (실제 소화 이닝 ÷ 1152이닝) + (포지션2의 조정값) x (실제 소화 이닝 ÷ 1152이닝)}, 주루에서의 기여도(wSB), 득점기여를 승리기여도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앞서 구한 타격에서의 기여도, 수비에서의 기여도, 포지션 조정값, 주루에서의 기여도를 더하여 대체선수에 비교해서 팀에 몇점을 기여했는 지를 구한 후, 1승에 해당하는 득점(R/W)으로 나눈 값입니다. 5가지 과정을 공식으로 옮기게 되면 RAR = (타격에서의 기여도) + (수비에서의 기여도) + (포지션에 따른 조정) + (주루에서의 기여도)이며, WAR = RAR / (R/W)입니다. 마지막으로 kWAR = {wRAA + ((20/600) x 타석) + (포지션에 따른 조정) + wSB) ÷ (R/W)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