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에서 투수와 관련된 용어 정리
야구 중계를 보다보면 해설진의 해설에서 우리가 평상시 알지 못했던 용어들이 나온다는 것을 들은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야구 경기를 보다보면 나오는 투수들에게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발 투수(Starting Pitcher)
게임을 시작할 때 선발되어 경기에 제일 처음 등판하는 투수를 일컫는 말입니다.
릴리프 투수(Relief Pitcher)
게임 중간에 교체되어 등판하는 투수로 주로 선발 투수에 이어 등판하는 것을 뜻합니다. 우리나라 말로는 중계 투수라고도 합니다.
마무리 투수(Closer)
경기 후반 이닝에 팀이 승리를 유지하거나 마무리하는 역할을 맡은 투수입니다. 3점차 이상의 경기에서 마지막 이닝에 등판해 실점없이 경기를 끝내게 된다면 세이브의 지표가 올라가게 됩니다.
볼넷(Walk)
공을 스트라이크 존이 아닌 스트라이크 존 바깥으로 4개를 던져 공격팀의 타자에게 베이스에 진루할 권리를 허락하는 것입니다. 볼넷이외에도 몸에 맞는 공으로 데드볼 상황이 나왔을 때도 동일하게 공격팀의 타자는 베이스로 진루하게 됩니다.
삼진(Strikeout)
투수가 스트라이크 존 안으로 공을 3개 던져 공격팀의 타자를 아웃 시키는 것입니다.
완투(Complete Game)
선발 투수가 한 경기를 혼자 힘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완투라고 합니다. 보통 실점을 하게 되더더라도 시작부터 끝까지 던져서 경기를 끝내는 것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경기가 9이닝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완투를 '9이닝 투구'를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장전으로 이어질 경우에는 더 긴 이닝을 소화해야할 상황도 생깁니다.
완봉(Shutout)
선발 투수가 상대 팀에게 득점을 내주지 않고 경기를 마무리하는 것으로 안타의 횟수와는 무관하게 실점을 하지 않는다면 이는 완봉 투수로 지칭합니다.
노히트노런(No-hitter)
투수가 한 경기에서 공격팀의 타자들이 안타를 치지 못하게 만들어 성적을 올리는 것입니다.
퍼펙트 게임(Perfect Game)
투수가 한 경기에서 공격팀의 타자 27명을 삼진 또는 아웃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선발 등판한 투수가 단 한명의 타자도 진루시키지 않고 끝낸 게임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세이브(Save)
기록적으로 마무리 투수가 팀의 점수차 리드를 유지하며 성공적으로 경기를 마무리하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홀드(Hold)
릴리프 투수(중계 투수)가 팀의 점수차 리드를 유지하며 마무리 투수에게 마운드를 맡기기 위해 득점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때 마무리 투수가 세이브를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무승부의 상황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홀드는 유지될 수 있습니다. 단 1점의 점수도 허용하지 않게되면 중계 투수는 홀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평균자책점(ERA = Earned Run Average)
투수가 경기에 등판해 기록한 자책점의 평균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누적된 기록을 기반으로 한 경기당 발생된 자책점의 평균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해당 수치가 낮다는 것은 경기당 자책점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여 이는 곧 ERA가 낮은 투수가 성적이 좋은 투수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WHIP (W=사구, H=안타&홈런, I=이닝당, P=투구)
WHIP는 투구 이닝당 출루율(사구, 안타, 홈런)을 의미합니다. 해당 수치가 높다는 것은 이닝도 출루를 허용한 타자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낮다는 것은 이닝당 출루 허용 타자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수는 보통 타자를 상대하기 위해 공을 던지게 됩니다. 그 결과 아웃 혹은 출루의 결과가 산출되게 됩니다. WHIP는 숙명적으로 계산되는 수치로 타자에게 얼마나 강한 투수 혹은 얼마나 효율적으로 경기를 운영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WHIP의 수치가 상승하게 되면 전반적으로 모든 투수 능력치 관련 약점 수치가 상승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피안타율/피홈런율
투수가 타자를 상대하면서 안타를 허용하는 것과 홈런을 허용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해당 수치가 낮을수록 타자에게 강한 투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크
보크란 투수의 동장에 의해 발생되는 반칙인데, 모든 투수들은 자신의 루틴에 맞게 공을 던지게 되지만 루틴을 진행하기에 앞서 규정된 투구 규칙을 준수해야만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규정이 보크입니다. 보크 규정은 투수가 투구를 완료하기 위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상대 타자 그리고 주자를 속여서는 안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투수의 투구 동작은 공을 던지기 위한 셋업자세와 다리를 들어 던지기에 이어지는 와인드업 자세가 있습니다. 셋업 자세는 던질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타자는 공을 칠 준비를 하게 되는데, 투수는 이 셋업 자세 이전에 공을 어디든 던지려는 동작이는 던지는 행위를 하게 된다면 보크가 선언되며 루상의 주자는 진루하게 됩니다.